3월, 2018의 게시물 표시

도스 윈도 네트워크 명령어

네트워크 접속 설정에 대한 모든 정보 표시 :  ipconfig /all DNS 캐시 정보 보기 :  ipconfig /displaydns DNS 캐시 초기화 :  ipconfig /flushdns 모든 어댑터(랜카드)의 IP (IPv4)주소 릴리즈 :  ipconfig /release 모든 어댑터(랜카드)의 IP (IPv6)주소 릴리즈 :  ipconfig /release6 모든 어댑터(랜카드)의 IP (IPv4)주소 갱신 :  ipconfig /renew 모든 어댑터(랜카드)의 IP (IPv6)주소 갱신 :  ipconfig /renew6 모든 DHCP 임대를 새로 고치고 DNS 이름을 다시 등록 :  ipconfig /registerdns 네트워크 연결 :  control netconnections 접속여부, 응답시간, 패킷손실율 확인 :  ping www.findip.kr IP 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거치는 경로추적 Trace Route :  tracert www.findip.kr 현재 TCP/IP 네트워크 연결 표시 :  netstat 라우팅 테이블 표시 :  route PRINT IP 주소와 매칭되는 MAC 주소 표시 :  arp -a 현재 호스트의 이름 표시 :  hostname DNS서버에 도메인의 IP 주소 찾기 :  nslookup www.findip.kr 위의 모든 명령어는 명령 프롬프트( cmd ) 에서 실행해야 합니다. 명령프롬프트는 윈도키 + R을 눌러서 실행창을 띄운 다음 cmd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검은 명령(도스) 화면이 나타납니다.

IP-PBX 란

이미지
NExpert의 지난글을 주욱보니… IP PBX가 뭔지에 대한 글이 없더군요. 얼마전 라인하트님의 Voice Gateway에 대한 글도 같은 의미의 글이라 생각이 됩니다. 그동안 실무에서 정리하던 것을 글로 쓰고 정리하던 습관 때문이라 생각이 듭니다. 가장 기초적인 글이 없기 때문에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처음 접하긴 조금 어려웠던 블로그라 생각이 되어서, 초심으로 돌아가 처음부터 정리를 하고, 새로 공부를 시작하는 사람에게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자 그럼 IP PBX에 대해서 좀 알아 볼까요? 아! 그전에 PBX? PABX가 뭔지부터 알고 넘어가죠. 1. PBX (Private Branch Exchange)란? PBX는 Private Branch Exchange이고, EPABX는 Eelctronic Automatic Branch Exchage입니다. Wikipedia에는는 그 정의가 “ A private branch exchange (PBX) is a telephone exchange  that serves a particular business or office” 라고 나와 있습니다. 즉, PBX, EPABX는 사설 전화 교환기 인데, 기업용 서비스에 특화가 되어 있는 장비입니다.  PBX는 기업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들을 가지고 있어, 기업에서 전화를 이용해 빠르고 편하게 통신을 할수 있게 해주는 장비입니다. 하지만 예전부터 PBX가 지금의 것처럼 좋았던 것은 아닙니다. 예전에는 전화국의 교환원이 전화코드를 통화를 원하는 사람끼리 연결 해주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전화를 걸고자 하는 사람은 전화기에 달려있는 발전기를 돌려서 신호를 보내면 전화국의 교환원이 받게됩니다. 전화를 받은 교환원은 전화받을 사람을 물어보고 수동으로 연결해 주는 방식이었습니다. 이런 방식은 아직 우리군의 야전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초창기 교환기의 모습> 하지만 PABX 즉 전자식 전화 교환기는 이런 ...

통신 관련 (MDF/IDF/PBX 등)

이미지
1. MDF : Main Distribution Frame (주 배선반/국선단자함)     가. 외부회선과 내부회선이 연결되는 장치.      나. 건물내에 들어오는 전화선이나 인터넷선을 건물내 각 방으로 배분     다. 일반적으로 선로 측의 단자 수가  교환기  측의 단자 수보다 많음     라. PBX/PABX에 연결된 전화선을 가입자의 전화포트 아울렛으로 분배 2. IDF :  ​ Intermediate Distribution Frame (중간단자함)      가. 각층이나 구획된장소에 설치하여 최종적으로 사용할수있는 통신기기와 MDF를 연결시켜주는 단자함 3. PBX : Private Branch Exchange(사설전화 교환대)     가. 전화 교환원이 전화코드를 원하는 사람끼리 연결해 주던 방식 4. EPABX : Eelctronic Automatic Branch Exchage(전자식 전화 교환대)     가. 전화번호를 미리 설정해 두고 사람들이 누르는 전화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해 주는 방식     나. TDM(Time-divistion multiplexing) 방식의 백플레인에 각각의 카드가 연결되어          호처리, 가입자 수용, 음성사서함, Ringback tone, 부가기능 등을 수행     다. RJ-11 잭을 통해 전화와 연결 5. IP PBX : Internet Protocol Private Branch Exchang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