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017의 게시물 표시

(주)인콤정보시스템-전자팩스

인콤정보통신 : 홈페이지 주소 ->  http://www.icomsoft.co.kr/ 팩스솔루션 : http://www.icomsoft.co.kr/solution/solution1.html IVR :  http://www.icomsoft.co.kr/solution/solution5.html

더보안-무선침입방지시스템

이미지
더보안, 스마트폰 도청방지 솔루션 사업 개시 무선침입방지시스템 업체인 더보안은 이런 사회적인 환경에 대응해 무한비트의 스마트폰 도청 방지 솔루션인 시큐어핫라인 국내 총판권을 계약했다고 밝혔다. 시큐어핫라인은 스마트폰 내부에 보안 마이크로SD카드 삽입과 앱 설치만으로도 이용이 가능한 제품으로, 시큐어핫라인 보이스, SMS, 파일을 통해, 음성통화도청, SMS 문자해킹, 파일 해킹을 방지해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간 음성통화/데이터와 폰 내부 저장 정보를 암호화하여 도청해킹 방지 및 정보 유출을 차단한다고 더보안은 설명했다. 원문보기:   http://www.itworld.co.kr/tags/61454/%EB%8D%94%EB%B3%B4%EC%95%88/82145#csidx7b2873af34f257e8b61220df524eea4   더보안 회사 홈페이지 ( http://www.theboan.com/ 무선보안시스템 (AIR-SCAN)  http://www.theboan.com/main/airscan 자료다운로드 :  http://www.theboan.com/main/?module=file&act=procFileDownload&file_srl=8778&sid=d193342f77f58930645ba164f3d20b8a&module_srl=267 더보안, 사이버공격 위협에 지난해 매출액 두배 성장 기록 (발행일 : 2015.01.21) 보안솔루션 전문기업인 더보안(대표 전익찬)이 지난해 매출액 66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두 배 성장을 이뤄냈다.   이는 지난해 지능형 지속위협( APT ) 공격 등 사이버 테러가 지능화·고도화되면서 보안 중요성이 커진 데 따른 것이다.   더보안은 지난해 보안솔루션인 파이어아이 총판 계약을 맺은 후 매출이 급성장한 것으로 보고 있다. 무선 보안 솔루션인 에어스캔도 시장에서 호응을 보이면서 시너지를 낸 것으로 회사 측...

퓨쳐시스템 동향

퓨쳐시스템 동향 네트워크 보안 1세대 '퓨쳐시스템', 회생절차 밟는다 네트워크 보안 1세대 기업 '퓨쳐시스템'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 수순을 밟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원은 지난 15일 퓨쳐시스템에 대한 회생절차 개시결정을 내렸다. 회생절차가 개시되면 모든 채권·채무가 동결되고 채권 신고·조사와 관계인 집회, 회생계획안 제출 등을 거쳐 회생계획 인가 또는 임의적 파산선고가 내려진다 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1031603&g_menu=020200 윈스, 퓨쳐시스템 인수 추진 특히 최근 퓨쳐시스템의 자금 사정이 어려워지면서 인수 협상에 속도가 붙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2015년 기준 퓨쳐시스템은 약 389억 원의 매출을 올렸으나 41억원 가량의 영업손실을 냈다.   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020200&g_serial=1012476

보안동향 및 솔루션 신제품 소식

이미지
포티넷, ATP·SSL 가시성 확보하는 NGFW 출시 포티넷은 이전 제품보다 2배 이상 성능이 향상된 차세대 방화벽(NGFW) ‘포티게이트 500E’ ‘포티게이트 300E’을 20일 발표했다. 신제품은 기업의 지사·캠퍼스에서 ATP 방어와 SSL 검사를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500E는 10GbE 연결을 지원하는 가장 저렴한 보안 어플라이언스이며, 300E는 높은 SSL 성능을 제공하며, 보안 기능이 강화된 SD-WAN을 지원한다. 포티넷 보안 패브릭의 일부로 운영되는 포티게이트 E 시리즈는 클라우드 샌드박싱, 엔드포인트 보호, 위협 인텔리전스 등 통합 ATP 기능을 지원한다. 모든 기능은 포티OS를 통해 운영되며, 톱 다운 패브릭 토폴로지 뷰를 제공해 인프라 전반의 관리와 가시성을 보장한다.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6961 소프트캠프, PC 가상화 기반 데이터 보호 솔루션 출시 소프트캠프(대표 배환국)는 한대의 PC를 일반과 보안환경으로 분리해 기업의 중요한 내부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PC 가상화 솔루션 ‘에스워크 에프엑스(S-Work FX)’를 출시했다고 20일 밝혔다.네트워크가 연결된 PC에 의해 악성코드에 감염돼 내부정보가 유출되거나, 산업기밀, 고객정보 등 기업의 핵심 자산이 전/현직 직원, 외부협력 업체에 의해 유출되는 사례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개인정보보호법 관련 규제가 강화되면서 금융기관에서는 비정형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를 의무로 해야 한다. 소프트캠프는 업무용 PC를 일반환경(Open Zone)과 업무환경(Work Zone)으로 논리적으로 분리해 해킹 위협이 있는 네트워크로부터 업무환경을 격리시키고, 모든 업무 데이터를 보안 드라이브에 암호화해 보호하는 PC 가상화 기술 기반의 보안 솔루션을 선보였다.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6945 ...

[챗봇동향] KINX, 클라우드 기반 채팅 상담 솔루션 ‘깃플’ 출시

이미지
▲ KINX가 클라우드 기반 채팅 상담 솔루션 ‘깃플’을 출시했다. 케이아이엔엑스(이하 KINX, 대표 이선영)는 클라우드 기반 채팅 상담 솔루션 ‘깃플(Gitple)’을 정식 출시했다고 20일 밝혔다. 깃플은 챗봇 시스템과 실시간 1:1 채팅 서비스를 결합해 상담 업무의 효율성을 높인 기업용 채팅상담 솔루션이다. 상담 안내, 영업시간 외 상담 접수, FAQ 제공 등의 단순 업무는 챗봇이 빠르게 처리하므로 상담사는 고객 응대와 전문 상담에만 집중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실시간 모니터링, 상담 데이터 관리 및 분석, 통계 조회, 메일 및 메신저 연동 등의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깃플은 오픈스택 클라우드 ‘IXcloud’에 구축된 SaaS 형태의 상품으로 설치 시간이 1분에 불과하다.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에 자동 연동되기 때문에 기업은 물론 1인 사업자도 손쉽게 온라인 고객센터를 구축할 수 있다. 인앱 또는 임베딩 방식으로 기존 서비스 안에서 실행돼 고객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이미 IT 전문 온라인 교육기업 ‘마소캠퍼스’, 해외 경매 대행기업 ‘비드바이’, 무역 컨설팅기업 ‘시시랜드’ 등 다양한 분야의 고객이 깃플을 사용하고 있다. 깃플 요금제는 종류에 따라 프리, 베이직, 엔터프라이즈 등 세 가지로 나뉜다. 프리 요금제는 무료로 월 500건의 상담 처리가 가능하며, 베이직 요금제는 계정당 월 5만 원이 부과돼 무제한 상담을 지원한다. 엔터프라이즈 요금제는 서비스 규모와 내용에 따라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포함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한다.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6982

[통신사] KT, 100기가급 광전송 솔루션 개발…기존 광선로 이용

이미지
KT(회장 황창규)가 기존 광 인터넷 선로에서 최대 100Gbps의 속도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100G-PON’ 전송 솔루션을 개발했다. KT가 개발한 ‘100G-PON’ 전송기술은 1회선 속에 초당 10기가바이트 전송이 가능한 10개의 파장을 적용함으로써 최대 100Gbps 속도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100Gbps 속도를 위해 10Gbps 전송 10회선을 구축할 필요 없이 이미 있는 광 케이블을 그대로 활용하므로 구축시간과 비용이 절감된다. 이 기술이 적용되면 지금 상용 서비스 되고 있는 ‘기가인터넷’ 보다 10배 빠른 ‘10기가 인터넷’도 기존 인프라를 통해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기존 유선망을 활용해 5G 네트워크를 구축 할 수 있는 ‘무선 5G 프런트홀’의 제공도 가능해져, 5G 시대를 더 빠르게 구현할 수 있는 기술로 평가된다. ‘100G-PON’ 기술개발이 완료됨에 따라, 향후 KT는 ‘10기가 인터넷’ 서비스의 상용화를 가속화할 계획이다. ‘10기가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면 초실감 UHD 영상 서비스,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서비스 및 차세대 와이파이(Wi-Fi) 등 대용량의 대역폭이 필요한 고품질 서비스를 고객에게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6953